KOREAHUMANRIGHTS | COMMUNITY | 한국인권뉴스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HOME > 커뮤니티 > 정보자료마당
기사제목 기사내용
성매매특별법의
개정 및 폐지에 앞장섭니다.
 

 
 
 


[질문지] 죽어버린 ‘노동자해방’의 장소들, 어떻게 되살릴 것인가 2012-08-17 15:42:59    3,758
--> 서부비정규노동센터_빈털터리_공부방_연속_대중강좌_집담회용_질문지.hwp ( 48.0 KB ) , Download : 80  




[2012년 서부비정규노동센터 빈털터리 공부방]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노동자 이야기
- 지워진 이들의 목소리 , 잃어버린 연대의 몸짓들

1강: 죽어버린 '노동자해방'의 장소들, 어떻게 되살릴 것인가
       - 1980년대 이후 한국 노동(운동)사와 기억의 정치

강사: 신병현 (전 문화연구 '시월' 연구원, 홍익대 상경대 교수)
2012.8.16 (목) 19:30~22:00 민주노총 교육원
주최: 서부비정규노동센터
--------------------------------------------------

[연속 대중강좌 집담회용 질문지]
8월 16일(목): 제1강
죽어버린 ‘노동자해방’의 장소들, 어떻게 되살릴 것인가:
1980년대 이후 한국 노동(운동)사와 기억의 정치

서부비정규노동센터 교육팀

1.
기억을 재구성한다는 것은 잊고 있던 것을 되살리는 과정이기도 하겠지만, 이로써 이미 알고 있던 것들이 전혀 새로운 의미를 띠게 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이런 과정으로서, 1980년대 이후 노동자들의 역사, 노동자가 ‘의미 있는’ 사회정치적 주체로 부상하게 된 역사를 다시 보자는 게 이번 강좌의 목표 중 하나인데요.

선생님이 보기에 1980~2000년대를 수놓았던 여러 사건 중 노동자 삶의 양식상 일어난 이런 변화를 설명해줄 것으로는 어떤 걸 꼽으실 수 있을까요. 그렇게 꼽는 데 삼으신 지표랄까요 준거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게 왜 하필 지금 중요하게 여겨져야 하는 건지 말씀해주셨으면 합니다.    


2.
‘문화연구 시월’에서 노동자(혹은 노동계급) 문화연구를 진행하셨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러기에 앞서 민주노조사나 노동자운동사 같은 역사서술이 있었는데, 노동자 ‘문화연구’는 이런 역사서술에 담겨 있던 시각과는 어떻게 다른 걸까요? 그리고 작업을 하면서 스스로 느끼셨던 의의와 난점은 어떤 것이었는지 이야기해주셨으면 합니다. 이게 문화연구 시월의 해산과 관련이 있다면 어떻게 관련을 맺었던 건지도 아울러 말씀해 주시면 좋겠네요.


3.
예전에 이런 궁금증을 가졌던 적이 있습니다. 왜 1970년대에 남성노동자들 거의 대다수는 민주노조운동에 함께하지 않았을까? 이 물음은 동시에 ‘1980년대 후반 남성들이 거의 대부분이었던 중화학공업 사업장에서는 민주노조 투쟁이 어떻게 활발할 수 있었을까?’ 하는 물음과 연결되기도 했습니다.  1980년대 이후의 노동자 역사를 다시 조명하려는 이 자리에서는 후자에 조금 집중하고 싶습니다.

1985년 일어난 구로 동맹파업이나 전투적 투쟁을 했던 다른 중소사업장에선 학생운동 출신가들의 역할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받지만, 1987년 노동자대투쟁 당시 중화학공업 사업장의 민주노조에서는 이른바 학출들의 영향력도 크지 않았던 것으로 압니다. 주로 울산과 마산·창원 등지에서 일어난 중화학공업 사업장의 민주노조 결성 운동의 성격을 일반화해 본다면, 두 번째 물음에 대해 어떻게 답할 수 있을까요?


4.
2000년대 들어 노동자 문화연구의 연구대상으로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가 조명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책으로도 두어 권이 출간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그 중 하나로 선생님과 몇몇 연구자가 함께 저술한 『사라진 정치의 장소들』이라는 책도 있습니다. 이 책을 보면, 현대차 지부라는 대단위 노동조합이 어떻게 정리해고의 트라우마 속에서 투쟁력을 상실하게 되는지, 기업은 어떻게 노동자를 순치하게 되는지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죠. 지난해 같은 경우엔, 정확한 명칭은 기억나지 않지만 현대차 단협에서 일자리의 대물림을 약속하는 협약이 체결되기도 했습니다.

1990년대를 관통하면서 민주노조들이 이처럼 신자유주의에 타협해가는 모습을 이 현대차 지부의 사례 속에서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볼 수 있을까요? 어떤 쟁점들이 있으며, 이 사례 속에서 우리가 곱씹어볼 수 있는 건 무엇일지 궁금합니다.


5.
신자유주의 체제하의 삶을 특징짓는 핵심적인 것 중 하나는 불안정노동의 일반화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신자유주의 체제가 요구하는 노동을 특징짓는 것은 어떤 것인지, 혹은 신자유주의적 통치(의 위기)란 어떤 것인지를 간략히 정리해주실 수 있을까요?


6.
지난 4.11 총선에서 통합진보당 울산 남구(갑) 선거구 예비후보로도 출마했던 이경훈씨(전 금속노조 현대차 지부장)는 지부장 시절, 돌발 공장점거농성에 들어간 사내하청 노동자들과의 연대 차 방문한 민주노총 지도위원 김진숙씨를 “외부세력이 농성장을 장악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사실상 내쫓아 내다시피한 바 있죠. 하지만 이경훈 전 지부장이 보인 판단과 행보를 ‘도덕적으로’ 성토하기 앞서 먼저 던져야 질문은 이런 게 아닌가 합니다.

노동자-대중이나 조합원들이 잘 살거나 자긍심을 갖는덴  노동자연대가 아니라 노자 간 상생을 우선하는 개별기업 내지 업계와의 동일시가 오히려 ‘합리적’이고 심지어 당연하다는 발상법은, 대체 어쩌다 민주노조 운동에 축축히 젖어들게 됐을까? 이런 발상법은 그렇게나 ‘전투적’이고 ‘변혁적’이었다는 1980년대 노동자운동의 자기전망 내부로부터 이미 그 싹수를 보였던 걸까요? 이런 와중에 이런 싹수들을 그 뿌리부터 말려죽이려는 노동자연대 움직임들은 여러 ‘분수령’들을 거치며 반체제운동 진영 내부에서 조직적으로 청산되거나 주변화됐던 건 아니냐는 건데요.

선생님께선 전 문화연구 시월의 동료분들과 함께 이 과정을 “민주노조 운동 양식의 시효 소멸”이라는 분석틀로 설명한 바 있지만, 이렇게 반문해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과정이 과연 시효 소멸의 과정이었던 거냐. 그것은 노동자운동이 ‘폭발적’ 유효성을 가졌다던 1980년대 중후반부터 이미 생겨 있던 운동 내부의 모순들이 ‘이제야’ 폭발하는 과정이라 해야 하지 않을까. 조직론적인 측면에서 민주노조 운동 양식이 가졌던 시효는 무엇이었고, 그 속에서 생겨나 이미 작동중이던 모순들은 어떻게 서로 긴장했던 거냐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이에 대해 선생님의 생각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7.
언제부터인가, 가령 현대자동차그룹 같은 거대기업집단에 지부를 둔 민주노조 대의원들이나 간부들이 사실상 현대정씨 문중보다 현대차그룹을 더 앞장서 걱정해주거나 심지어 사랑하게 돼버린 저간의 사정을 둘러싸고는 이런저런 말들이 있어온 지는 사실 꽤 오래 됐죠. 하지만 이런 사정을 그저 ‘(세계)총자본의 지랄맞은 공세 탓’이라고만 정리하기엔 몹시 불충분하고 손쉬워 보입니다. 이런 공세와 제대로 맞서 씨름할 줄 알았던 민주노조 운동 역시, 이 운동이 실은 트로이의 목마가 아닐까 싶을 만큼 혼란을 부추겼던 게 사실이니까요.

이런 혼란 와중에 노동자운동이 거의 지리멸렬해지다시피한 이유 중 하나로, 1980년대부터 민주노조 운동 세력에게 ‘비판의 무기’였던 “진보의 역사서사”가 이제 더는 약이 아니라 독이 돼버린 정세를 거론하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진보의 역사서사”가 1970~80년대 무렵에는 노동자운동을 위시한 반체제 운동 전반의 지적 버팀목이었을지 모르나, 20~30여 년이 지난 이제는 되려 지구적 규모로 새롭게 부상하는 노동자들의 연대와 조직화 움직임, 그리고 이와 맞물린 대안사회 구상들을 은폐하거나 영영 미뤄지게끔 만드는 지적 잠금장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죠.

이로써 “억눌린 이들, 투쟁했던 이들의 역사적 기억은 이 진보의 서사 속에서 기입됨으로써 국가 혹은 시민사회에 의해 기념될 뿐”이라는 겁니다. 실제로 이런 ‘진보의 역사서사“는 앞으로 얼핏 양립 불가능해 보이는 선진화 담론과 민주화 담론이 서로 공명, 수렴하게 해주는 지적 깔때기의 역할을 잘도 해낼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래서 1980년대를 전후해, 아니 실은 훨씬 더 이전부터 노동자들이 마주하고 겪었던 역사적 사건들을 어떻게 다시 기억할 것이냐는 물음은 동시에 저 “진보의 역사서사”가 다다른 막다른 골목으로부터 우리가 어떻게 벗어날 수 있겠느냐는 물음이잖나 싶습니다. 결국 문제는 개별적 사실이나 사건들이 아니라, 이들을 특정한 이야기의 일부로 만드는 역사서술인 셈인데요. 그렇다면 오늘날 저 진보의 역사서사에 대항해야 하는 노동자해방, 또는 연대의 경험들은 어떤 이야기 속에서, 어떻게 다시 쓰이고 기억돼야 할까요?    

서부비정규노동센터


[질문지] 파일 첨부


 
501 조선에서의 일본군‘위안부’동원: 소개업자・ 접객업자・일본군 청부업자 등의 역할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06.0 KB 13
500   나치 독일의 강제노동과 보상 문제 0 0
499   한타련 거제 주민설명회 수순 0 0
498 성특법이 성범죄, HIV / AIDS 공화국으로 73.8 KB 10
497 정치적 올바름과 전체주의 정신 / 콜라코브스카 34.5 KB 9
496   매춘과 성범죄 Prostitution and Sex Crimes / 인디펜던트 0 0
495 독일통일 총서 27-동독의 통일대비 입법 분야 5.58 MB 10
494 OECD 회원국 38개국의 ‘1인당 GDP와 성 자유 지수’ 165.9 KB 25
493 OECD 회원국 38개국의 ‘1인당 GDP와 성 자유 지수’ 15.5 KB 32
492 OECD 38개국 성노동/매춘 정책(2022) 138.1 KB 27
491 권순일이 끼친 해악: 최초의 ‘성인지 감수성’ 판결 / 이선옥 72.1 KB 34
490 OECD 38개국 포르노 정책 현황(2021) 119.5 KB 36
489   징용 사기 0 0
488   [팩트] 징용노동자상 일본인 이미지 등에 대하여 0 0
487 강제동원과 징용 /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196.7 KB 39
486   이대근 '귀속재산연구' 0 0
485   [징용] 무토 전 대사 “국제법에 위배되는 징용공 판결의 배후가 文 정권” 0 0
484   [징용] 문재인·이해찬의 방조= '한일 파탄' 0 0
483   부산정대협 김문숙 회장 0 0
482 성매매에 대한 시각과 법적 대책 / 조국 58.0 KB 81
1 [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
Copyright 1999-2025  Zeroboard
 
위안부 관련 '여성인권평화재단' 설립 추진 강력 반대 2025/03/29
탄핵으로 정부 전복 노리는 민노총 정의연 등 반국가성 ... 2025/01/04
성노동에 대한 법률을 만들 때는 성노동자의 말을 들어라 2025/01/02
러시아 성노동자 통해 본 위안부 현상과 세 가지 질문 2024/12/26
정의연 대표의 동덕여대 사태 발언 ‘라카 시위’ 조장한... 2024/11/29
기독교 세력의 영적 물리적 전장이 된 대한민국 체제 전... 2025/03/11
[운동단평] 한국 사회에서 점령군이 된 극렬 페미니즘 2023/11/11
가짜뉴스, 종교와 성으로 배타적 민족주의 분노 부른다 2023/04/28
페미니즘과 반일(反日) 관계에 대한 요약 2022/12/08
[페미종언] 페미들의 전성시대 그리고 그 후 2022/06/21
 
 
주소 : 서울시 중랑구 상봉2동 84-29
문의 : TEL. (02)435-9042. FAX. (02)435-9043    후원계좌번호 : 우리은행 1002-629-307300 (예금주명 최덕효)
No copyright! Just copyleft. Contact Webmaster for more information